2025 트랜드

옴니보어( omnivore ) 2025 트랜드

산소같은나무 2025. 4. 6. 20:58
반응형

*옴니보어(Omnivore)**는 원래 생물학에서 '잡식성 동물'을 의미하지만, 현대 소비 트렌드에서는 연령, 성별, 소득 수준 등의 전통적인 인구통계학적 기준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는 사람들을 지칭합니다.

옴니보어 소비자의 특징

  1. 다양한 관심사와 취향: 옴니보어 소비자들은 특정 분야나 브랜드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은 관심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고급 브랜드의 가방과 친환경 소재의 의류를 함께 선택하는 등 다양한 트렌드를 동시에 즐깁니다.
  2. 전통적 분류의 무의미화: 과거에는 연령, 성별, 소득 수준 등에 따라 소비 패턴이 일정하게 구분되었지만, 옴니보어 소비자들은 이러한 경계를 허물고 자신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소비합니다. 예를 들어, 20대가 보톡스를 맞거나 60~70대가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등 연령에 따른 고정관념을 깨는 소비 행태를 보입니다.
  3. 자신만의 소비스타일 구축: 옴니보어 소비자들은 주어진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독특한 소비스타일을 형성합니다. 이는 다양한 문화와 제품을 접하고 이를 조합하여 개인의 취향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사례

패션 분야

  • 중년층의 온라인 쇼핑 증가: 최근 4050대의 온라인 쇼핑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패션 플랫폼들도 이들의 행동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스타일이 운영하는 '포스티(POSTY)'는 405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한 패션 플랫폼으로, 앱 누적 다운로드 수가 570만 건을 기록하며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매일경제
  • 볼링백의 유행: 한때 '촌스러운' 스포츠 액세서리로 여겨졌던 볼링백이 최근 패션 아이템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세대와 취향을 아우르는 옴니보어 소비 패턴의 한 예시입니다.New York Post

음식 분야

  • 고급 식료품의 인기: 소비자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프리미엄 식료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스앤젤레스의 고급 식료품점인 Erewhon은 유명인들이 디자인한 스무디를 최대 $23에 판매하며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Food & Beverage Magazine
  • 전통 간식의 현대적 재해석: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자주(JAJU)는 달고나, 보리건빵, 누룽지과자 등 전통 간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선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자주 달고나'는 2021년에만 70만 개 이상 판매되며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중년층에게는 향수를, 젊은 세대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스포츠 분야

  • 중년층의 스포츠 참여 증가: 중년층은 건강 관리를 위해 다양한 운동을 즐기며, 특히 실내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요가, 필라테스, 수영 등을 선호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관절에 무리가 적고 유연성 향상과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 스포츠 액세서리의 패션화: 볼링백과 같은 스포츠 액세서리가 패션 아이템으로 부상하면서, 스포츠와 패션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옴니보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관심사와 취향을 반영하는 현상입니다.New York Post
MIU MIU
MARGESHERWOOD ACNE STUDIO
cos

기업들의 대응

이러한 옴니보어 소비자들의 등장은 기업들에게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요구합니다. 전통적인 인구통계학적 분류를 넘어, 개인의 취향과 관심사를 반영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 패션 플랫폼의 변화: 카카오스타일의 '포스티'와 같은 패션 플랫폼은 40~5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하여, 이들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브랜드를 입점시키고 상품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매일경제
  • 고급 식료품점의 부상: Erewhon과 같은 고급 식료품점은 건강과 프리미엄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고급 식품과 음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Food & Beverage Magazine

마치며

옴니보어 소비자들의 등장은 전통적인 소비 패턴의 경계를 허물고, 개인의 취향과 관심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소비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