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장의 위치, 공공기관과 사설기관의 차이, 납골당과의 비교, 그리고 비용까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함께 살펴보시죠! 🌳
수목장이란?
수목장은 고인의 유골을 나무 아래에 안치하여 자연으로 회귀시키는 친환경적인 장례 방식이에요.자연과 함께하며 고인을 기릴 수 있는 방법으로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답니다.
수목장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나무 아래나 주변에 묻어 고인을 추모하는 자연 친화적인 장례 방식입니다.이러한 방법은 자연과의 공존을 추구하며, 전통적인 묘지에 비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수목장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나무를 사용하지 않는 잔디장: 나무 대신 잔디밭에 유골을 안치하는 방식입니다.
수목을 사용한 수목장: 실제 나무 아래나 주변에 유골을 안치하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식과 크기의 차이가 곧 수목장의 다양한 형태를 결정합니다.
수목장과 유사한 개념으로 '수목장림'이 있습니다.두 방식 모두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나무 밑이나 주변에 묻는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조성 대상자와 관리 주체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수목장을 고려하신다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장소 선택: 고인의 유지를 반영하고 가족들이 방문하기 편리한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용: 수목장의 비용은 장소, 나무의 종류, 관리 방식 등에 따라 다르므로 사전에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 및 유지: 수목장은 자연 친화적인 방식이므로, 장기적인 관리와 유지 방안에 대해 고려해야 합니다.
수목장과 납골당의 비교
수목장과 납골당은 현대 장례 문화에서 많이 선택되는 두 가지 방식입니다.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고 비교하는 것은 고인의 뜻과 유가족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래는 수목장과 납골당의 장단점을 상세히 비교한 내용입니다.
수목장의 장점
자연 친화성: 수목장은 화장한 유골을 나무 아래에 안치하여 자연으로 돌아가게 하는 방식으로,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
경제성: 납골당에 비해 초기 비용이 저렴하며, 관리비가 적거나 없는 경우가 많아 장기적인 경제적 부담이 낮습니다.
후손의 부담 경감: 자연적으로 소멸되므로 후손이 별도의 관리나 이장을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심리적 안정감: 자연 속에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어 유가족에게 평온함과 위안을 제공합니다.
수목장의 단점
추모 공간의 제한: 개별 묘비나 구조물이 없어 특정한 추모 공간을 가지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위치의 불명확성: 고인의 안치 위치가 명확하지 않아 방문 시 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연적 요인에 의한 변화: 나무의 성장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안치된 장소의 환경이 변할 수 있습니다.
납골당의 장점
명확한 추모 공간: 고인의 유골함이 실내 또는 지정된 장소에 보관되어 언제든지 방문하여 추모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관리: 전문 관리자가 시설을 유지하고 보안이 강화되어 있어 유골의 보존 상태가 안정적입니다.
편리한 접근성: 도심이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아 가족들이 방문하기에 편리합니다.
납골당의 단점
비용 부담: 초기 분양 비용이 높고, 연간 관리비가 추가로 발생하여 경제적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공간의 한계: 자연 친화적인 요소가 부족하며, 실내 공간이 제한되어 있어 답답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장 필요성: 일부 납골당은 일정 기간(예: 15~30년) 후 유골을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있어 후손에게 추가적인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비용 비교
수목장: 공공기관의 경우 50만~300만 원 정도이며, 관리비는 월 8만 원 수준입니다.
납골당: 공공 납골당은 100만~ 2,000만 원 이상이며, 연간 관리비는 5만~10만 원 정도입니다.
결론
수목장과 납골당은 각각 고유한 장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선택 시에는 고인의 뜻, 유가족의 경제적 상황, 추모 방식의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연 친화성과 경제성을 중시한다면 수목장이, 명확한 추모 공간과 체계적인 관리를 원한다면 납골당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서울 근교 및 전국 수목장 위치와 비용
아래는 서울 근교와 전국에 위치한 주요 수목장의 정보를 정리한 표입니다. 공공기관과 사설기관으로 나누어 안치 형태와 비용을 함께 안내해드릴게요.
서울 근교 수목장
공공기관
서울시립승화원 자연장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공동목
약 50만 원
서울 시민 우선
사설기관
용인 자연숲추모공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개인목, 부부목
개인목: 약 300만 원~, 부부목: 약 500만 원~
관리비 별도
사설기관
광주 평온의 숲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가족목
약 1,000만 원~
관리비 포함
공공기관
의왕하늘쉼터(자연장)
경기도 의왕시 오매기백운산길 41-57 (오전동)
031-345-2831
공공기관
이천시립자연장지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황무로1719번길 189 (죽당리)
031-645-3558
공공기관
정왕공설자연장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산2-1
031-310-2264
공공기관
중대공원자연장지
경기도 광주시 중대동 50-1
031-762-0383
공공기관
충현공원 자연장지
경기도 광주시 용샘길 115-25 (목현동)
031-764-9617
사설기관
일산공감수목장(봉화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지영동 353-19
031-975-4588
사설기관
자연애숲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지영로194번길 135 (지영동)
031-977-9915
사설기관
청솔수목장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애기봉로409번길 82-11 (개곡리)
031-1899-4266
전국 수목장
공공기관
부산 영락공원 자연장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공동목
약 70만 원
부산 시민 우선
사설기관
대전 하늘숲추모공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개인목, 부부목
개인목: 약 250만 원~, 부부목: 약 400만 원~
관리비 별도
사설기관
강원 평창 자연추모공원
강원도 평창군
가족목
약 800만 원~
관리비 포함
공공기관
중앙추모공원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마유로 58-38 (백석리 313-1)
031-833-7737
공공기관
천주교아우구스띠노수도회 자연장지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동중리 333-3
정보 없음
공공기관
하늘소풍수목장(호산나교회)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1261번길 372-74
031-1577-8195
사설기관
유토피아수목장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화곡길 130
031-673-7904
공공기관
국립기억의숲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만수로 755-136
041-402-7100~1
약 30,000위 안치 가능
공공기관
국립하늘숲추모원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양서동로 372
031-775-6637
6,315그루의 추모목 보유
공공기관
은하수공원 자연장지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정안세종로 1527
044-850-1340
20위 안치 가능
공공기관
자연숲추모공원 수목장림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영장로 900-53
061-395-2040
13,760그루의 추모목 보유
공공기관
보배숲추모공원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진도대로 7143-10
061-544-6101
정보 없음
공공기관
경주하늘수목장림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하늘마루길 274
054-753-3535
23,928위 안치 가능
사설기관
유토피아수목장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화곡길 130
031-673-7904
20,000그루의 추모목 보유
사설기관
청솔수목장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애기봉로409번길 82-11
031-1899-4266
정보 없음
사설기관
천탑사수목장(그린피아)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미전리 산79-1
055-352-4013
1,800그루의 추모목 보유
사설기관
백양사수목장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061-392-2304
정보 없음
각 수목장의 자세한 정보와 분양 절차, 비용 등은 해당 기관의 공식 웹사이트나 연락처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특히 사설 기관의 경우, 분양 비용과 관리 방식이 다양하므로 사전에 충분한 상담과 현장 답사를 권장드립니다.
서울 및 전국 납골당 위치 및 가격 정보
서울
정릉납골당
서울특별시 성북구
400만~1,300만 원
800만~2,600만 원
5년 관리비: 개인 25만 원, 영구 100만 원
경기 북부
벽제불교납골당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150만~650만 원
300만~1,300만 원
안치단 높이에 따라 가격 변동
파주납골당
경기도 파주시
150만~650만 원
300만~1,300만 원
안치단 높이에 따라 가격 변동
포천납골당
경기도 포천시
100만~600만 원
200만~1,000만 원
양주납골당
경기도 양주시
300만~750만 원
600만~1,500만 원
경기 동부
남양주납골당
경기도 남양주시
180만 원~
1,000만 원~
양평납골당
경기도 양평군
180만 원~
1,000만 원~
사찰 납골당
경기 남부
분당납골당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300만~800만 원
600만~1,600만 원
광주납골당
경기도 광주시
200만~750만 원
400만~1,500만 원
야외 봉안담: 200만~550만 원
용인납골당
경기도 용인시
300만~700만 원
600만~1,400만 원
종교별 안치실 구비
경기 서부
김포납골당
경기도 김포시
300만~700만 원
600만~1,400만 원
사찰 납골당 제외
일산납골당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350만~800만 원
700만~1,600만 원
경기 남부
평택납골당
경기도 평택시
150만~550만 원
300만~1,100만 원
시설 우수, 가격 저렴
안성납골당
경기도 안성시
300만~650만 원
600만~1,300만 원
시설 우수
참고: 위 가격은 안치단의 위치, 시설의 종류, 관리비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해당 납골당에 직접 문의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납골당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치: 가족들이 방문하기 편한 장소인지 확인하세요.
시설: 청결하고 관리가 잘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세요.
가격: 예산에 맞는지, 추가 관리비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종교적 요소: 사찰 납골당의 경우 종교적 분위기를 고려하세요.
고인을 모시는 중요한 결정이니만큼 신중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여러 곳을 방문하여 직접 확인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