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애인 활동지원사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어려움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여 자립적인 삶을 돕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요 업무 내용:
- 신체활동 지원: 개인 위생 관리, 식사 도움, 실내 이동 지원 등
- 가사활동 지원: 청소, 세탁, 취사 등
- 사회활동 지원: 등하교 및 출퇴근 보조, 외출 동행 등
- 방문목욕: 가정 방문을 통한 목욕 서비스 제공
- 방문간호: 간호, 진료, 요양 상담, 구강 위생 관리 등
자격 요건 및 취득 방법:
활동지원사가 되기 위해서는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교육 과정은 총 40시간으로, 5일간 진행됩니다.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간호사 등의 자격증 소지자나 정부 돌봄사업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경우, 전문과정(32시간)을 이수하면 됩니다. 교육 이수 후에는 장애인 활동지원기관에서 10시간의 현장 실습을 완료해야 합니다.
급여 및 근무 조건:
활동지원사의 시급은 매년 인상되고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시급은 16,620원이며, 심야(22시 이후 6시 이전) 및 공휴일 근무 시에는 24,930원의 시급이 적용됩니다. 주 40시간 근무 시 월 평균 급여는 약 268만 원 수준입니다.

직업으로서의 장단점:
장점:
- 사회적 기여: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자립을 도와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보람: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적인 성취감과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단점:
- 근무 시간의 변동성: 활동지원사의 근무 시간은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유동적이며, 안정적인 근무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신체적·정신적 부담: 장애인의 신체적·정신적 상태에 따라 업무 강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처우 개선 필요성: 업무의 중요성에 비해 급여 및 복지 혜택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자립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책임감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직업입니다. 그러나 근무 조건과 처우 개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BzIoi3YEIQ

반응형
'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플러스에 대하여 (0) | 2025.03.20 |
---|---|
요양 보호사 자격증 ( 은퇴 후 도전 ) (1) | 2025.03.18 |
병원동행 매니저 자격증 (은퇴 후 도전) (2) | 2025.03.17 |
아이돌보미 국가 자격증 (은퇴 후 재도전) (1) | 2025.03.11 |
은퇴 후 새로운 도전 ( 자격증 ) (4) | 2025.03.10 |